감염병 매개 모기, AI가 찾아낸다…선제적 방제 가능해져

‘인공지능 기반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 개발…종분류 정확도 94.7%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어떤 모기가 잡혔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방역도 한 발 더 신속하게 대처한다.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매개모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선제적으로 방제에 활용하기 위해 충남대학교, ㈜이티앤디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AI-DMS)’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장비는 작은빨간집모기와 얼룩날개모기 등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등 종분류 정확도가 94.7%로, 특히 전 세계 최초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에 질병청은 오는 9월부터 일부 지자체와 함께 개발 장비를 시범 운영하며 추후 전국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BG-sentinal* 트랩을 이용한 감시법(사진=질병관리청 제공)



그동안 모기 발생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유문등이나 BG-sentinal trap 등 포집기로 채집하고 수거했다.


이후 종 분류까지 최소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모기 발생 감시정보를 즉각적으로 방제에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 근거중심 매개체 방제사업에 활용하고 있는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 Daily Mosquito monitoring System)를 통해 모기 발생 수를 파악해 방제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채집된 모기가 어떤 종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육안 및 현미경으로 구분하는 분류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했다.


AI-DMS 현장설치 모습(왼쪽)과 모기 포집 및 촬영.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이에 질병청은 모기 발생감시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충남대학교, ㈜이티앤디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자동 모기분류감시장비를 개발했다.


이 장비는 이산화탄소로 유인해 포집한 모기 영상을 현장에서 바로 확보하고, 촬영한 모기 영상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분류한다.


이어 이 결과를 전송해 모기 종의 채집지역·지점별과 월별 발생 현황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이 장비는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말라리아), 작은빨간집모기(일본뇌염),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뎅기열), 금빛숲모기에 대한 94.7%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질병청은 앞으로 모기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학습된다면 정확도는 더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매일 채집한 모기를 분류하고 발생 수를 제공할 수 있어 모기 다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살충제 오·남용의 문제점을 개선해 한층 효율적, 환경친화적인 방제 적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에 개발한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를 통해 정확한 모기 발생정보 수집이 가능해 선제적이면서 즉각적인 방제로 살충제 사용의 최소화와 매개모기로 인한 질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지제이 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수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