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노후·위험·도민생활 밀착시설 안전 강화
- 6월13일까지 배터리제조업체·전통시장 등 1천545곳 집중점검 -
- 점검 결과 공개·보수보강 후속조치 이행력 강화·모니터링 지속 -
전라남도가 2025년 집중안전점검 기간인 6월 13일까지 61일간 배터리제조업체, 폐기물처리시설, 전통시장, 다중이용업소 등 1천545개소에 대한 집중안전점검에 나선다.
지난 2015년부터 시작한 집중안전점검은 정부·지자체·도민이 함께 참여해 전남지역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위험 요인을 발굴·개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유형별 대상은 배터리제조업체, 폐기물처리시설, 전통시장, 다중이용업소 등 최근 이슈가 된 시설물을 중심으로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시설물을 우선 선정했다. 토목·건축·전기·소방·가스 등 189명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안전관리자문단, 담당 공무원, 유관기관 등 민·관 합동으로 이뤄진다.
또한 시군에서 운영 중인 안전보안관이나 시니어 은퇴 공무원도 집중안전점검에 함께 참여해 안전 위해요소 제거에 앞장설 계획이다.
내실있는 점검을 위해 인력 접근이 곤란한 교량이나 상하수도 시설은 드론을 활용해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육안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시설은 비파괴검사,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안전 사각지대가 없도록 꼼꼼히 점검할 계획이다.
도민이 직접 점검에 참여하도록 유도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안전점검이 일상화돼 안전문화가 확산되도록 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자율 안전점검표를 제작·배부할 계획이다.
점검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바로 시정이 가능한 가벼운 사항은 즉시 시정조치하고, 중대한 결함은 사용금지·철거 등 긴급 안전조치를 실시하고, 신속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사업의 예산은 중앙부처와 적극 협의해 건의할 예정이다. 지난해엔 보수·보강이 시급한 2개 시설물(해남·고흥)에 대해 중앙부처 협의를 통해 12억 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았다.
점검 결과는 시군 누리집,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safewatch.safemap.go.kr)에 공개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생활 속 안전 사각지대 해소에 온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박남일 전남도 사회재난과장은 “최근 발생한 대형사고(세종~안성 간 고속도로 건설현장 교량 붕괴, 경상남북도 산불)를 교훈삼아 예방적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여 도민의 안전과 직결된 시설물 위험요소 발굴·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도민도 생활 속 위험요인에 관심을 갖고 꼼꼼히 살피고, 이상 발견 시 가까운 읍면동이나 안전신문고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지제이 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나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