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이 오는 10월 4일부터 7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유네스코,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시교육청과 공동으로 ‘빈곤과 불평등에 대응하는 도시’를 주제로 세계인권도시포럼을 마련했다고 1일 밝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1일 광주도시공사 창립 30주년을 맞아 “새로운 100년을 바라보며 이제는 ‘내일의 도시’를 그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강 시장은 이날 광주도시공사에서 열린 창립 3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지난 30년간 광주도시공사는 주택·산업단지 등 도시에 많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3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간부공무원 대상으로 청렴선언식을 갖고 ‘3행(行; 공정‧소통‧배려) 3무(無; 부패‧청탁‧갑질)’ 실천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이날 회의는 강기정 광주시장의 주재로 부시장, 실·국장 등 40여명의 간부공무원들이 참석한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와 광주광역시의회가 미래모빌리티 기업 유치를 위해 함께 나섰다.광주시는 지난 7월 자율차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가 확정된 후 미래모빌리티 선도도시 조성을 위한 미래신산업 관련 기업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31일 김용승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양성평등주간(9월 1~7일)을 맞아 9월 1일 시청 1층 시민홀에서 ‘2023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양성평등기념주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실질적 양성평등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 올해로 28회째
농기계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미국 ‘존디어(John Deere)’사가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광주를 찾았다.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30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존디어사 무쿨 바르시니(Mukul Varshney) 아시아태평양지역 부사장을 접견, ‘광주시-존디어
국토교통부는 193개에 달하는 청년 주거정책을 10개 정책으로 단순화하고, 모든 청년 주거정책 정보를 한 곳에서 통합 제공하는 마이홈 App(앱) 청년전용 페이지를 30일 신설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주거 복지제도를 수요자인 청년 입장에서 단순화하고 정보 접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9일 시청 회의실에서 국무조정실 주재 ‘중앙-광주 청년정책조정위원회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간담회는 청년정책을 심의·조정하는 국무조정실 중앙청년정책조정위원들이 광주지역 청년들과 만나 교류의 시간을 갖고 지역 청년정책 활성화 방안을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024년 정부예산안으로 3조1426억원이 반영됐다고 29일 밝혔다.먼저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광주시 주요 신규사업은 Y-프로젝트 앵커 사업으로 마한의 빅히스토리 역사와 영산강의 국제교류를 재해석한 테마체험관 조성을 위한 ▲아시아 물 역사 테
산림청은 8월 2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외산림탄소배출감축사업(REDD+)* 동향을 공유하고 민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토론회에는 산림청, 외교부, 라오스 농림부, 주한라오스대사관 등 고위급 관계자가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8일 오전 시청 5층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시정 주요현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광주광역시는 28일 국가보훈부가 문제 삼은 ‘정율성 선생 기념사업’은 1988년 중앙정부가 먼저 시작했으며, 지난 35년 간 국익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국제 인공지능 전시회인 ‘AI TECH+ 2023’이 오는 30일부터 3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마련됐다. 올해 주제는 ‘AI와 함께하는 세상(A World with AI)
▲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24일 오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특별전 '생태미술 프로젝트' 개막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자연과 도시, 인간은 과연 공존할 수 있을까?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특별전 ‘생태미술프로젝
광주광역시시민권익위원회는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제44차 전원위원회’를 개최했다.시민권익위는 이날 시민광장 광주온(ON)을 통한 시민제안에 대한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광주시에 정책권고하기로 의결했다.정책권고 의제는 ▲뽕뽕다리 시비(詩碑) 설치 ▲중앙공원 1지구 공동주
교육부가 직업계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35곳,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이하 마이스터고) 65곳 등 현장이 원하는 학교 100곳을 집중 육성한다. 또 ‘경력’ 기준으로 산학겸임교사 자격을 완화해 현장성을 강화하는 한편, 채용 방식의 변화에 부응